DHCP란?

DHCP (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)는
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들(컴퓨터, 스마트폰, 프린터 등)이 자동으로 IP 주소를 받도록 도와주는 프로토콜이야.


쉽게 말하면?

네트워크에 새로 연결된 기기에게
“야, 너는 이 IP 써라~” 하고 자동으로 주소를 할당해주는 시스템이야.


작동 과정 (4단계)

줄여서 DORA 과정이라고 해!

  1. Discover

    • 기기가 “나 IP 주소 필요한데, 누구 있나요?” 하고 브로드캐스트

  2. Offer

    • DHCP 서버가 “이거 써봐~” 하고 IP 제안

  3. Request

    • 기기가 “좋아요! 이 IP 쓸게요~” 하고 요청

  4. Acknowledge

    • 서버가 “오케이, 이제 너 그 IP 써~” 하고 승인


DHCP가 주는 것들

  • IP 주소

  • 서브넷 마스크

  • 게이트웨이 주소 (라우터)

  • DNS 서버 주소 등등


비유하자면…

DHCP는 호텔 프론트 데스크야.

  • 손님(기기)이 오면

  • 방 번호(IP 주소)와 편의 정보(DNS, 게이트웨이)를 줘서

  • 알아서 편하게 인터넷 쓸 수 있게 해주는 거지!


고정 IP vs DHCP

항목 고정 IP DHCP
설정 방식 수동 자동
변경 여부 고정됨 재부팅 시 바뀔 수 있음
사용 예 서버, 프린터 일반 사용자 PC, 스마트폰 등

어디서 많이 쓰이냐?

  • 가정용 공유기: DHCP 서버 내장 (자동으로 IP 할당)

  • 회사 네트워크: DHCP 서버 따로 둬서 중앙 관리

  • 클라우드 VM: 자동으로 IP 할당받음

  

DNS

DNS란?

DNS (Domain Name System)는
사람이 기억하기 쉬운 도메인 주소(예: google.com)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IP 주소(예: 142.250.206.206)로 바꿔주는 시스템이야.


쉽게 설명하자면…

DNS는 전화번호부 같은 역할을 해.
네가 “google.com”이라는 이름을 쳤을 때,
DNS는 “아, 그건 142.250.206.206번 컴퓨터야!” 하고 알려줘.


작동 순서 요약

  1. 네가 웹 브라우저에 www.naver.com 입력

  2. 컴퓨터가 DNS 서버에 “이 주소 IP 뭐야?”라고 물어봄

  3. DNS 서버가 IP 주소를 알려줌 → 예: 223.130.200.104

  4. 그 IP로 접속해서 네이버 홈페이지가 뜨는 것


DNS가 중요한 이유

  • 사람이 숫자 IP 대신 이름으로 웹사이트를 기억할 수 있어서 편리해

  • 웹사이트 주소가 바뀌어도 DNS만 업데이트하면 사용자는 변화 없이 이용 가능

  • 회사에서는 내부 DNS를 통해 내부 시스템 연결도 쉽게 할 수 있어


DNS 관련 용어 몇 설명

용어 설명
DNS 서버 이름을 IP로 바꿔주는 서버 (예: 8.8.8.8 – 구글 DNS)
A 레코드 도메인 이름 → IPv4 주소
AAAA 레코드 도메인 이름 → IPv6 주소
CNAME 별명 도메인 (예: blog.example.com → example.tistory.com)
MX 레코드 메일 서버 주소 지정

실제 쓰임

  • 인터넷 브라우징할 때

  • 회사 내부 시스템 접근 (예: intranet.company.local)

  • 이메일 송수신 (메일 서버 주소도 DNS가 담당)

   

SCCM

SCCM은 System Center Configuration Manager의 약자로,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만든 기업용 시스템 관리 도구야. 지금은 이름이 **Microsoft Endpoint Configuration Manager (MECM)**로 바뀌었어, 하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그냥 SCCM이라고 불러.


SCCM이 하는 일

SCCM은 한마디로 조직 내 수백~수천 대의 PC, 서버를 중앙에서 설치, 관리, 배포, 모니터링할 수 있는 툴이야. 특히 IT 관리자들이 많이 쓰지.


주요 기능들

  1. 소프트웨어 배포

    • 특정 프로그램을 모든 직원 PC에 자동으로 설치하거나 업데이트 가능.

    • 예: “이번 달에 크롬 최신 버전 자동 배포”

  2. 운영 체제 배포 (OSD)

    • 새 PC에 Windows 설치 + 드라이버 + 기본 소프트웨어까지 자동으로 한 번에 처리.

    • 예: “새 노트북에 Windows 11 + 회사 필수 프로그램 자동 설치”

  3. 패치 관리

    • Windows 업데이트뿐 아니라, 서드파티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도 자동으로 적용 가능.

    • 예: “Adobe Reader, Zoom 최신 보안 패치 자동 배포”

  4. 자산 관리

    • 회사 내 모든 PC의 하드웨어 사양, 설치된 소프트웨어 목록 자동 수집.

    • 예: “이제는 CPU가 i3인 PC가 몇 대 있는지 바로 확인 가능”

  5. 원격 제어

    • IT 관리자가 사용자 PC에 원격 접속해서 문제 해결 가능.


SCCM vs Active Directory 차이

항목 Active Directory (AD) SCCM
목적 사용자/컴퓨터 계정 관리, 정책 적용 시스템 운영, 설치, 배포, 모니터링
중심 기능 로그인, 권한, 그룹 정책 소프트웨어/OS 배포, 패치, 자산 관리
예시 “누가 이 폴더에 접근 가능한가?” “누구에게 크롬 최신 버전 설치됐는가?”

어디서 많이 쓰나?

  • 대기업, 관공서, 교육기관 등 PC가 수십~수천 대 있는 곳에서 많이 사용돼.

  • 특히 IT 헬프데스크 팀이 SCCM으로 자동화 작업을 많이 하더라.

액티브 디렉토리(Active Directory, AD)

액티브 디렉토리(Active Directory, AD)는 마이크로소프트(Microsoft)가 개발한 디렉토리 서비스로,
Windows 기반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, 컴퓨터, 그룹, 권한 등을 중앙에서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이야.

쉽게 말해서, 회사나 조직 내 모든 컴퓨터와 사용자 계정을 하나의 중앙 서버에서 통제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이라고 보면 돼.


주요 기능

  1. 중앙 집중식 사용자 관리

    • 예: 하나의 계정으로 회사 내 모든 PC에 로그인 가능.

    • IT 관리자가 계정을 추가/삭제하거나, 비밀번호를 초기화할 수 있어.

  2. 그룹 정책(GPO, Group Policy Object)

    • 컴퓨터 사용 제한, 소프트웨어 설치, 바탕화면 설정 등 조직의 정책을 자동으로 적용.

  3. 리소스 접근 제어

    • 폴더, 프린터, 파일 등에 누가 접근할 수 있는지 권한을 설정.

  4. 도메인 서비스 (Active Directory Domain Services, AD DS)

    • 컴퓨터들이 도메인이라는 하나의 네트워크로 묶여서 작동하게 함.


회사에서의 예시

  • 직원이 회사에 출근해서 PC에 로그인할 때, Active Directory 계정으로 로그인.

  • 프린터나 네트워크 드라이브 사용 시, AD에서 정한 권한에 따라 사용 가능 여부 결정.

  • 새로운 직원을 입사시킬 때, AD에 계정만 만들면 자동으로 PC, 메일, 권한이 세팅됨.